[UPS] UPS 부하 상황에 적응한 시스템의 선정 |
---|
Date : 2014-01-07
Name : 관리자
Hits : 8038
|
UPS 부하 상황에 적응한 시스템의 선정UPS 시스템의 선정시 전원공급이 신뢰성 확보를 첬째로 평가해야한다. 또 경제성에 대해서는 말할 나위 없지만 부하 시스템의 운용 형태 장래 확장 계획의 파악이나 시공 조건에 대해서도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배려해야한다. 여기서는 이상의 조곤에 적응한 시스템의 선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UPS 부하선정 ![]() UPS 에 접속하는 부하는 정전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기기로 하고 정전 회복 후의 재가동에 의해 운용상 영향이 없는 기기는 제외하 는 것이 경제적이다. 장시간 정전에 대처하는 데에는 공조 설비를 포함한 부대 관련 설비의 전원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자가발전 설비와ㅢ 조합에 의한 시스템이 널리 채택 된다. (2) 용량과 병렬 운전 대수의 선정 UPS 용량의 선정에서 단순히 부하 용량의 합계로 부터 뿐 아니라 UPS 출력 성능과 여러가지 부하 조건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 최근의 컴퓨터에는 컨덴서 입력형 정류기 부하가 많이 사용되고 그 전류 파형도 그림 5처럼 전류 폭이 좁고 첨두 값이 높은 변형 전류 가 되고 동일 용량인 선형 부하에 비해 전류 파고 값은 2~3배가 된다. 따라서 UPS 용량은 이 피크 전류도 허용할 수있는 용량으로 선 정해야 한다. 또 실제에는 부하 시스템의 요구 성능과 UPS 출력 성능의 협조를 도모하기 위해 이 밖에 다음 항목에 대해서도 검토해 야 한다. ⅰ) 가동시의 돌입 전류 (UPS 과전류 내량) ⅱ) 부하 변동량 (UPS 출력 전압 변동) ⅲ) 부하 상간 불평형 (UPS 출력 전력 불평형) ⅳ) 부하 특성 (비선형 부하에 대한 전압 변형률) 병렬 용장 시스템의 대다수 선정에서는 당초 설비 용량과 장래 확장 계획에서 가장 경제적인 대수를 선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5~8 대 이하의 병렬 운전이 채택되고 있다. (3) 축전지의 선정 축전지에 의한 정전 보상시간은 부하시스템의 계획 정지(퇴피 처리) 시간에 의해서 결정 되는데 일반적으로 5~10분으로 하고 있다. 표2에 UPS용으로 사용되는 축전지를 비교한다. 축전지의 선정은 가격, 수명, 설치 환경 및 보수성 등 총합적인 평가에 의한다. 일반적으로 고율 방전용 설치 납 축전지(HS형)가 많이 사용되면 상하수도 설비나 플랜트 계장 등의 소 중용량 UPS네는 소결식 축전 지(AHH형)도 채택된다. 음극 흡수식 납 축전지(MSE형)는 HS형에 비해 고가지만 수명이 약간 길고, 소형이고 보수 작업이 불요 등 메인티넌스의 간소화라는 점에서 최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4) 부하 확장에의 대응 부하시스템에 단계적인 증설 계획이 있는 경우에는 UPS의 각 증설 스텝에서의 신뢰성, 운용성, 나아가서 경제성을 고려해 계획 당초 부터 시스템 구성을 정해 두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는 당초부터 병렬 용장 시스템으로 대응해 각 스텝에서 UPS의 증설이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회로, 축전지 등의 주 변 설비에 대해서도 검토해 둘 필요가 있다. 살제에는 확장 시의 레이아웃, 배선 루트는 물론 부하 시스템의 허용 정지 시간 등의 시공 조건에 대해서도 당초부터 배려해야 한다. (5) UPS의 보수 UPS는 일반전원 설비로는 부품 점수가 많은 기기이며 장기적으로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에는 정기적인 보수 점검의 실시가 필요하다. 최근의 검퓨터 시스템, 정보 통신 시스템이나 의료 기기용 전원의 경향으로는 부하 시스템을 정지 시킨후의 보수가 곤란한 케이스가 증가하고있다. 이 경우 그림 7에 든 예처럼 무순단 바이패스 전환의 UPS시스템에 대해 보수 바이패스 회로를 더 부가함으로써 부하 를 정지하지 않고 UPS의 무 전압 보수가 가능해진다. ![]() UPS는 앞으로 고도로 일렉트로닉화 된 기기의 전원으로써 사회의 구석구석까지 널리 퍼질 것이다. 한편, 앞으로의 UPS 기술 동향으 로는 대용량 고주파 스위칭 소자의 개발, 디지털 제어 기술의 운용 등에 의해 더욱 소형화 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