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발전기] 비상발전기의 구조 |
---|
Date : 2014-05-14
Name : 관리자
Hits : 14418
|
비상발전기(자가발전설비)자가발전설비는 전기사업자가 공급하는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또는 구내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설치하는 발전기를 말한다. 주로 비상용발전기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또는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치하는데, 그 중 소방용 비상발전기는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는 자가발전설비 가운데 소방부하와 비상부하의 겸용의 발전기로서 용량 산정시 두 부하 중 더 큰 한쪽 부 하의 입력용량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적용할 수 있는 비상용발전기이며, 단일 용량으로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양쪽 용도에 기능적 인 만족을 제공하는 경제적인 발전기 시스템이다. 비상발전기 미작동의 문제점비상발전기는 정전시 또는 정전 및 화재시에 자동으로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건축물의 비상시설과 소방시설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중 요시설이다. 비상전원의 결함의 주요 원인은 첫째, 관리 소홀, 둘째, 구조적인 용량 부족에 기인되는 것인데, 용량 부족은 시공비 절감을 위해 적 은 용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발생된다.이러한 문제점은 화재시 소방시설 작동 불능을 초래하여 인명 손실과 직결될 수 있다. 실제로 2008년 소방방재청 통계에 의하면 소방시설 미작동 등에 의한 사고 건수는 1,007건이고, 사망 53명, 부상 95명의 손실을 초래 한 사례도 있다. 또한 2011년 9월 15일 전국 순환 정전시에는 비상용 승강기 및 승용 승강기(10층 이상 아파트는 겸용)에 승객이 갇힌 사건수가 1,902 건, 인명구조 수는 2,901으로 보고되었는데, 비상발전기가 정상 작동하였으면 그런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의 구비조건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는 소방용과 비상용 겸용의 발전기로서 용량 부족에 의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적은 용량에서도 과부 하 방지를 위해 개발된 발전기다. 발전기의 구비조건은 정전 및 화재시에는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에 비상전원이 자동으로 동시 공급되고, 주전원 선로의 전류값을 계 측하여 소방부하 증가로 발전기가 과부하에 가까운 정격출력 또는 비상출력 부근의 설정된 전류 값에 도달되면 제어기기에 의해 즉 시 소방부하 이외의 비상부하를 일괄 또는 순차 제어함으로써 비상부하용 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는 주전원 차단기가 차단되지 않게 하여 소방부하에 비상전원의 연속 공급을 보장하는 발전기이다 비상발전기는 정전시 또는 정전 및 화재시에 자동으로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건축물의 비상시설과 소방시설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중 요시설이다. 비상전원의 결함의 주요 원인은 첫째, 관리 소홀, 둘째, 구조적인 용량 부족에 기인되는 것인데, 용량 부족은 시공비 절감을 위해 적 은 용량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발생된다.이러한 문제점은 화재시 소방시설 작동 불능을 초래하여 인명 손실과 직결될 수 있다. 실제로 2008년 소방방재청 통계에 의하면 소방시설 미작동 등에 의한 사고 건수는 1,007건이고, 사망 53명, 부상 95명의 손실을 초래 한 사례도 있다. 또한 2011년 9월 15일 전국 순환 정전시에는 비상용 승강기 및 승용 승강기(10층 이상 아파트는 겸용)에 승객이 갇힌 사건수가 1,902 건, 인명구조 수는 2,901으로 보고되었는데, 비상발전기가 정상 작동하였으면 그런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국토해양부의 건축전기설비설계기준의 수용률소방방재청 고시 제 2011-27호(2011.11.24)에 의해 소방부하 및 비상부하 겸용으로 사용되는 비상용 발전기로는 과부하 위험 조건 방 지를 위해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또는 합산용량 발전기를 선택 적용하도록 의무화 되었다. 법령에 의한 이 고시가 있기 전까지는 2011.10.1일자 소방방재청의 "비상발전기 및 제연설비 운영지침"에 의해 용량 부족 조건 방지를 도모하였던 바 있으나, 현장 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비상부하의 경우 수용률을 임의 오적용하여 용량 부족 조건이 되어도 그 오류를 발견하기 쉽지 않았기에 소방안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 고시에 의해 그러한 모호한 부분이 제거되어 발전기의 용량이 명확하게 되어 오적용을 예방하게 되었고, 합산용량 발전기는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대비 약 40% 고가가 되므로 경제성 제공으로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 채용으로서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